목차
M1 맥북에 가상머신을 사용하여 Ubuntu를 설치하고 Mac 터미널에서 원격 실행해보자
흐름은 다음과 같다
Ubuntu 다운 -> 가상머신 다운 -> 가상머신에 Ubuntu 설치 -> 실행 -> 원격 실행
Plain Text
복사
Ubuntu 이미지 다운받기
VM에 설치할 Ubuntu를 다운받는다
가상머신 설치
가상머신으로는 UTM을 설치해주었다. VMWare, VirtualBox 같은 다른 VM을 사용해도 무관하다.
UTM 가상머신 생성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새 가상머신 만들기를 클릭하고, Virtualize를 선택한다.
Ubuntu를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OS는 Linux를 선택한다
탐색 버튼을 눌러 설치한 Ubuntu 이미지를 가져온다
가상머신에 사용할 메모리와 CPU 코어, Storage를 설정한다.
공유폴더는 따로 지정하지 않고 넘어갔다. 공유폴더를 지정하면 호스트(로컬)와 게스트(VM)가 서로 마운트되어 디렉토리 내 파일을 공유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VM 이름을 정해 생성을 완료한다.
VM에 Ubuntu 설치
이제 기본적인 세팅은 끝났고, VM 상에서 Ubuntu가 실행될 수 있도록 가상머신을 실행시켜 Ubuntu를 설치해주도록 한다.
Try or Install Ubuntu Server를 선택하고 엔터를 눌러 설치를 시작한다.
참고로 마우스 사용은 되지 않으니, 키보드를 사용해 진행한다.
언어로는 한글이 없기 때문에 영어를 선택한다.
아래와 같은 화면은 버전 업데이트에 관한 내용인데, 무시하고 진행한다.
계속해서 Done을 선택하여 진행한다.
사용자 정보를 설정한다. 정보는 ubuntu에 접속할 때 필요하다.
ssh를 통해 원격 접속을 할 것이기 때문에 Install OpenSSH server를 선택하고 넘어간다
패키지들을 미리 설치하는 항목인데, 이후에도 설치할 수 있으니 넘어간다.
이제 설치를 기다리고, 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면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이제 이 창을 끄고 다시 실행한다.
Ubuntu 실행
설치가 완료된 Ubuntu를 실행시키기 전에 CD/DVD를 클릭하여 비우기를 선택한다.
VM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며, 설정해둔 id/pw를 사용하여 로그인해준다.
원격 접속
IP 확인
mac 터미널 창에서 실행중인 ubuntu 서버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ip를 알고 있어야 한다.
1.
ifconfig
•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이다.
•
ifconfig 가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ifconfig: Command not found 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될 것이다. ifconfig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net-tools를 설치해주어야 한다.
◦
sudo apt install net-tools
2.
ip addr
•
ifconfig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IP주소의 바인딩 상태를 알 수 있다.
3.
hostname -I
•
위 두 방법과는 다르게 host가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만 나온다.
•
-i 와 -I의 옵션이 다르니 사용할 때 주의하자
접속
ssh {username}@{server_ip} -p {port}
Bash
복사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터미널에서 외부 접속을 진행해준다. 포트는 따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기본 포트인 22번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며 yes를 입력해 접속을 진행한다.
접속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