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IC (Network Interface Card)
•
a.k.a. LAN Card
•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컴퓨터 장치
기능
•
직렬화
◦
전기적 신호 → 데이터 신호
◦
데이터 신호 → 전기적 신호
•
MAC 주소
◦
NIC는 MAC이라는 고유 주소를 가짐
◦
전달받은 Packet의 도착지 주소를 자신 주소와 비교하여 처리
•
흐름 제어
◦
다양한 통신으로 데이터 유실 방지를 위한 통신 중지 요청
Cable & Connector
Cable
•
유선으로 네트워크 연결
•
거리, 속도에 따른 케이블 종류
◦
Twisted Pair,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Connector
•
케이블의 끝부분으로, 네트워크 장비 및 카드에 연결하는 부분
•
다수의 시스템이 연결되어 통신하기 때문에 규격이 필요
◦
규격 = Ethernet
▪
통신 가능한 랜선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른 규격
규격 | 전송속도 |
1000BASE-T | 1 Gbps |
100BASE-TX | 100 Mbps |
10BASE-T | 10 Mbps |
Router
L3
•
데이터를 목적지에 전달할 수 있는 통신 경로 안내 장치
•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해 Routing Table에 정보 저장
•
관리자가 라우팅 테이블을 추가하거나 주변 라우터와 정보 교환을 통한 정보 갱신 가능
◦
잘못된 정보는 데이터 유실 또는 무한루프 발생 가능
▪
따라서 TTL(Time To Live) 설정
Hub
•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
•
자신에게 연결된 모든 기기에서 데이터를 전달
•
브로드 캐스트 통신 (단, 한번에 하나의 장비에만 전달 → 성능 저하, 충돌발생 가능)
Switch
L2
•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
•
데이터 요청 기기로 정확하게 전달
•
유니캐스트 통신
Load Balancer
L4(TCP, UDP), L7(HTTP, FTP, SMTP, …)
•
IP 주소 변환
•
Health Check 및 대용량 세션 처리 기능